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가을 환절기 찬바람 불면 이 질환 위험↑

‘중풍’으로 불리는 뇌졸중 발병 확률↑…5년새 환자 19% 증가
서울대병원 조원상 교수 “불 꺼진 듯 시야 캄캄·말 어눌해져”
뇌졸중, 고혈압·당뇨·고지혈증·흡연·가족력·비만 등이 주요 원인
증상 발생 4시간30분 이내면 약물치료 가능…골든타임 지켜야
게티이미지뱅크

 

10월 들어 가을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 아침‧저녁으로 찬바람이 불면서 일교차도 커지고 있다. 이렇듯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이른바 ‘중풍’으로 불리는 뇌졸중이 발병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최근 국립중앙의료원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국내 뇌졸중 환자는 19% 증가했다. 한국인의 사망 원인 1위는 암이지만 그 뒤로는 심장질환, 폐렴, 뇌졸중 등이 엇비슷한 비중으로 5대 상위 그룹을 이루고 있다.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을 통틀어 일컫는 뇌졸중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등을 알아본다.

 

3일 의료계에 따르면 뇌졸중은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추운 날씨 탓에 혈관이 갑자기 수축돼 뇌경색이나 뇌출혈이 일어나면 뇌에 혈액 공급이 불가능해 뇌세포가 괴사한다. 이렇게 죽은 뇌세포는 나중에 복원이 되지 않아 영구적인 장애가 남는다. 

 

사람들은 흔히 뇌졸중 하면 드라마에서 뒷목을 잡고 쓰러지는 장면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하지만 실제 뇌졸중 증상은 다르다고 전문가는 설명한다. 가장 흔한 전조증상은 불을 끈 듯 시야가 잠시 차단되는 것이다. 커튼을 친 듯 시야의 절반이 좁아지기도 한다. 그밖에도 신체 일부가 마비되거나 감각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언어기능 장애도 뇌졸중 증상 중 하나다. 뇌졸중이 오면 말이 어눌해지거나 실어증이 생길 수 있고, 말은 잘하지만 타인의 말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심한 경우 의식을 잃고 쓰러지게 된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조원상 교수는 “가장 대표적인 뇌졸중 전조 증상은 눈앞이 불을 끈 듯 순간적으로 캄캄해지는 것”이라며 “골든타임인 증상 발생 4시간 30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뇌졸중. 게티이미지뱅크

 

뇌경색·뇌출혈의 주요 공통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가족력, 비만 등 6가지다. 최근에는 잘못된 약 복용도 뇌졸중의 원인이 되고 있다. 피를 묽게 하는 약물인 항혈소판제 및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그렇다. 특히 고령층 중 일부는 뇌경색 예방 목적으로 아스피린으로 대표되는 항혈소판제를 개인적으로 구입해 복용하기도 한다. 

 

조 교수는 “의학적으로 아스피린 복용은 뇌경색 예방과 같은 ‘득’보다 뇌출혈, 위장 출혈 같은 ‘실’이 많아 권고하지 않는다”면서 “복용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뇌졸중과 치매는 연관성이 있다. 손상된 뇌혈관의 영향으로 뇌 조직이 망가져 기억력 장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알츠하이머 등 일반적인 퇴행성 치매와 구분해 ‘혈관성 치매’로 부른다. 마비, 시야장애 등 다른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뇌졸중으로 인해 머리에 물이 고여 발생한 수두증도 치매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다행히 수두증은 비교적 어렵지 않은 수술로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다. 이에 수두증으로 인한 치매는 거의 유일하게 ‘치료 가능한 치매’로 불린다.

 

혈관이 터진 뇌출혈과 혈관이 막힌 뇌경색은 치료 방법이 서로 다르다. 뇌출혈의 경우, 출혈량이 뇌압에 영향을 미칠 만큼 많다면 수술을 실시하고 소량의 출혈은 흡수돼 사라지도록 둔다. 출혈 지속 여부도 중요하다. 만일 혈관의 출혈이 멈추지 않았다면 지혈을 실시해야 한다.

 

반면 뇌경색은 뇌의 변성 상태가 중요하다. 혈관이 막히면 뇌가 부어오르는데, 뇌의 붓기는 피부에 비해 심하다. 뇌가 부어 본래 모양으로 돌아올 수 없는 만큼 변성됐으면 막힌 혈관을 뚫기가 불가능해 약물 치료만 가능하다.

 

한편, 부은 뇌가 혈관을 누르지 않도록 두개골을 열어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고, 뇌압을 낮추기 위해 체온을 낮춰 뇌 붓기를 억제하는 저체온요법이 실시되기도 한다.

 

허혈성 및 출혈성 뇌졸중. 게티이미지뱅크

 

만약 뇌졸중으로 쓰러진 주변인을 목격하면 119에 전화해 신속하게 응급실로 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법이 많이 발전했기 때문에 증상 발생 4시간30분 이내로 응급실에 도착하면 약물 치료가 가능하다. 혈관이 막혀서 발생한 뇌경색은 24시간 이내로 응급실에 도착하면 막힌 혈관을 뚫어줄 수도 있다.

 

조 교수는 “간혹 뇌혈관 질환 예방에는 ‘뭘 먹으면 좋아질까’, ‘뭘 하면 예방될까’라는 질문을 많이 듣는데, 특별한 ‘무엇’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위험인자의 관리다. 적절한 운동과 금주·금연은 물론, 고혈압·고지혈증·당뇨 같은 기저질환을 평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 외의 부분을 관리하는 것은 상담 후 의료진에게 맡기면 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미 뇌졸중을 겪은 사람도 재발 방지를 위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조 교수는 “후유증이 있어도 재활치료를 잘하면 대다수가 정상에 가깝게 회복될 수 있으니, 포기하거나 낙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재활에 임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