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의 윤곽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 주호영 비대위원장이 우군 확보를 위해 당 혁신위원회와 연대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내 이준석 대표를 지지하는 책임당원들이 가처분 집단 소송을 제기하는 등 이 대표와 관계 정리는 비대위가 풀어야 할 숙제다.

11일 여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비대위는 이번 주 중으로 비대위원 인선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비대위는 정치색이 짙은 인사 대신 전문성과 다양성을 갖춘 인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대위는 최대 15명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9명으로 출범하겠다는 것이 주 위원장의 생각이다. 주 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와 성일종 정책위의장 등 당연직을 제외하면 6명의 비대위원이 새로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이 중 절반은 당내 인사, 나머지는 외부 인사로 예상된다.
초선 그룹에서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비서실 정무팀장을 지낸 정희용 의원과 서초구청장 출신 조은희 의원 등이 하마평에 오른다. 재선 그룹에서는 김정재·정점식 의원 등이 후보군이다. 외부 인사로는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의 경제통 윤희숙 전 의원이 거론된다.
일각에서는 주 위원장이 당 혁신위 인사 중 일부를 비대위원으로 임명하는 방안도 힘을 얻는다. 최재형 혁신위원장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비대위에 혁신위원이 포함되는 것은 바람직하다”며 “혁신위에서 논의되는 안건들이 (비대위) 지도부에서도 원활히 소통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혁신위원 중 김종인 비대위에 참여했던 김미애 의원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비대위 활동 기간을 둘러싼 논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차기 전당대회 개최 시점을 두고 당권 주자들의 셈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당 안팎에서는 연말과 내년 초 등 구체적 시점이 거론되지만, 현재 정치 일정이나 여당의 낮은 지지율로는 정기 국회가 열리는 도중인 9∼10월에 치르기는 부담스럽다는 관측이 많다. 다만 친윤(친윤석열 대통령)계에서는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빨리 새 지도부를 꾸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편 이 대표 측은 집단 소송 등 실력 행사를 하며 반전의 기회를 노리고 있다.
이 대표를 지지하는 책임당원 모임 ‘국민의힘 바로 세우기’는 이날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했다. 책임당원 1558명이 신청인으로 참여했다고 소송 대리를 맡은 신인규 전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밝혔다. 이에 국민의힘은 당 법률지원단을 통해 공식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대표는 이날 저녁 페이스북에 폐가 사진과 함께 “쌓는 건 2년, 무너지는 건 2주”라는 단문의 글을 올렸다. 국민의힘이 지난해 4·7 재보궐 선거부터 올해 대통령 선거와 6·1 지방선거까지 연승을 거뒀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내부총질 당대표’ 문자가 유출된 후 2주 만에 비대위가 출범하는 등 당이 재기불능 상태에 빠졌다고 비꼰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