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보기메뉴 보기 검색

국토부 2026년도 예산안 62.4조로 역대 최대…올해 본예산보다 7.3% 증가

입력 : 2025-08-29 18:00:00
수정 : 2025-08-29 17:23:30
폰트 크게 폰트 작게

내년도 정부 예산안 중 국토교통부 예산액이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됐다.

 

정부가 29일 발표한 ‘2026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국토부 예산으로는 62조4000억원이 편성됐다. 올해 국토부 본예산(58조2000억원)과 비교해 7.3% 늘어난 수준이다. 국토부는 “국토교통 안전, 주거 및 교통 민생안정, 균형발전 등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도 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뉴시스

정부가 편성한 국토부 예산안을 분야별로 봤을 때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20조8000억원, 사회복지 예산이 41조6000억원을 차지했다. 올해 본예산과 비교해 SOC 예산은 6.5%, 사회복지 예산은 7.8% 각각 늘었다.

 

우선 정부는 항공·철도·도로 등 교통망 전반의 안전조치 투자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공항시설 안전(224억원→1204억원), 철도 안전(2조4000억원→2조9000억원) 등 SOC 안전 투자 강화에 나선다.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예산도 15억원에서 144억원으로 늘어난다. 

 

침체한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한 예산도 편성됐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를 비롯한 철도건설과 도로건설, 8개 신공항 건설 등 주요 간선 교통망 확충에 8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5000호·5000억원) 등 지방 건설경기 지원에도 나선다.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공적주택 19만4000호 공급(16조5000억원→22조8000억원), ‘K-패스’ 혜택 확대 등 도입(2374억원→5274억원)도 주요 예산 편성 내용으로 꼽혔다. 지방자치단체 예산 편성권 확대를 위해 지자체 자율편성 계정 규모(8000억원→1조3000억원)를 늘리고, 인공지능(AI) 시범도시(40억원), 기후변화산단 조성(10억원) 등 미래 지역거점 육성에도 예산을 투입한다.

 

국토부는 “AI 신기술 응용 시스템 상용화를 위한 지원사업 신규 실시(880억원), 83개 국토교통 R&D(연구개발) 투자(5000억원)에도 나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