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동현장인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사진)이 한국의 불참으로 2년째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 한국 정부는 올해도 일본이 ‘강제성’을 언급하지 않은 데 강한 유감을 표시하며 별도의 추도식을 개최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국 대통령실, 외교부는 일본 니가타현에서 13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 대해 “올해 만족스러운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며 “추도식이 취지와 성격에 합당한 내용과 형식을 갖추어 온전하게 치러져야 한다”고 밝혔다.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는 이날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사도광산 추도식’을 개최했다. 추도식에는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국장급)이 정부 대표로 참석했다. 지난해 차관급인 정무관이 참석한 데 비해 격이 낮아졌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조선인 노동의 강제성은 언급하지 않았다.
1940∼1945년 사도광산에서 노역한 조선인 수는 1519명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강제성’ 표현에 대한 이견을 일본 정부와 좁히지 못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추도식 불참을 결정했다. 대신 별도로 자체 추도식을 열 예정이다. 시기는 가을이 유력하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정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