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보기메뉴 보기 검색

국가유공자 유골함 물 고이면 재안장…친환경 유골함 확대

입력 : 2025-09-15 13:47:53
수정 : 2025-09-15 13:47:52
폰트 크게 폰트 작게

국가보훈부는 최근 논란이 된 국립묘지 유골함 물 고임 현상과 관련, 유족이 희망하면 다시 안장하고, 물고임 자체를 방지하기 위해 친환경 유골함 사용을 늘리는 등의 ‘국립묘지 유골함 물고임 대책’을 15일 발표했다. 최근 도자기형 유골함을 안장한 일부 묘역에서 물고임이 발생하면서 마련된 조치다.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을 찾은 한 시민이 묘역 앞에서 참배를 하고 있다. 남정탁 기자

국회 운영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이 보훈부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 이후 유골함 훼손(물 고임 현상) 현황’에 따르면 전국 국립묘지 12곳 중 4곳에서 물 고임 현상으로 인해 유골함 7건이 훼손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의 실태조사 결과 호우나 결로 등으로 유골함에 물이 고일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유골을 그릇이나 납골당에 보관하는 봉안묘 형태에서 물고임이 자주 나타난다.

 

보훈부는 물이 고인 유골함의 경우 유족의 동의를 받아 재안장할 계획이다. 새로운 유골함은 흙에서 잘 썩는 종이 유골함으로 바꾼다. 또 석관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현재 4·19민주묘지와 5·18민주묘지에서 석관을 사용하고 있다. 석관은 땅 속에서 물이 흐르는 길을 막아 빗물이 배수시설로 빠지는 것을 방해한다. 빠지지못한 빗물이 고여 물고임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배수시설도 손본다. △국립묘지 지하 수위 측정 후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시설인 ‘집수정’ 설치 △땅 속에 자갈과 유공관 등을 심은 형식의 배수시설 설치 △취약구역 파악을 위해 물고임 측정용 유골함 설치 등에 나설 방침이다. 이 외에도 6개월마다 배수상태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전문가 조사를 진행한다.

 

권오을 보훈부 장관은 “국립묘지 유골함 물고임 대책을 철저히 이행하여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에 대한 마지막 예우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