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보기메뉴 보기 검색

‘순직 해경’ 검찰, 전담팀 구성 본청·인천해경서·영흥파출소 강제 수사

입력 : 2025-09-18 18:52:05
수정 : 2025-09-18 18:52:05
폰트 크게 폰트 작게

최근 인천에서 발생한 해양경찰관 사망 사고와 관련해 검찰이 전담팀을 구성해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18일 이 경사가 고립자 구조 중 숨진 데 전반적인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과 ‘진실 은폐’의혹을 받는 인천해양경찰서와 영흥파출소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날 당국에 따르면 검사 총원 5명의 ‘이재석(34) 경사 순직 사건’ 수사팀이 대검 반부패기획관(차장검사급)을 팀장으로 인천지검 내 구성됐다. 수사팀은 직권남용과 허위공문서작성 혐의 등으로 이광진 인천해경서장과 영흥파출소장, 당직팀장(경위) 등을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5일 인천 서구 인천해양경찰서에서 엄수된 '해양경찰관 고(故) 이재석 경사 영결식'에서 김용진 해양경찰청장이 헌화 후 경례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앞서 대기발령된 이들 3명 가운데 이 전 서장과 영흥파출소장은 지난 11일 이 경사 사고 당일 당직을 함께 섰던 동료들에게 ‘함구 지시’를 내린 당사자로 지목됐다. 또 당직팀장은 ‘2인 1조 출동’ 원칙 위반과 휴게시간 미준수 등 다수 규정을 어겨 이 경사 생존의 ‘골든타임’을 놓친 것으로 판단된다.

 

당시 파출소 당직자는 모두 6명이었지만 이 중 4명이 ‘야간 3시간 이내 사용 가능하다’는 규정보다 많은 6시간의 휴게시간을 부여받았다. 이런 탓에 이 경사와 당직팀장 2명만 근무 중이었다. 하지만 근무일지에는 3시간으로 축소해 허위로 작성한 정황까지 드러났다.

 

검찰은 이들과 해경 관계자, 압수 자료 분석으로 사고 경위와 구조 과정의 대응 적정성, 규정 준수 및 은폐 여부 등 전반을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검찰은 비슷한 시각 연수구 해양경찰청 본청 종합상황실과 정보통신과 사무실에서 압수수색을 벌여 재난안전통신망 녹취 자료 등을 확보했다.

 

앞서 당직팀 동료 4명은 기자회견을 열어 “그동안 영흥파출소장으로부터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들어야 하니 사건과 관련해 함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그러면서 이 전 서장으로부터 직접 함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도 했다.

 

이 경사는 해경이 초기 파악했던 오전 3시27분보다 22분이나 뒤인 오전 3시49분 드론 영상에 마지막으로 포착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당시 “이 경사의 위치를 놓쳤다”고 기록한 상황보고서가 허위로 작성됐음을 해경청 스스로 인정했다.

 

이 경사가 바다에서 실종된 후 실질적인 구조 장비가 투입될 때까지는 40분가량이 소요되기도 했다. 상급기관 상황실 보고는 즉시가 아닌 오전 2시7분 최초 신고가 접수된 지 80여분이 흘러 이뤄졌다. 이에 따라 구조 헬기도 오전 3시 55분에야 출발할 수 있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5일 “해경이 아닌 외부의 독립적인 기관에 맡겨 엄정히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고인의 동료들로부터 ‘윗선이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는 증언이 나왔다는 점을 짚었고, 이어 유가족과 동료들의 억울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면서 이런 지시를 했다”고 전했다.